반응형
우리집 전기 배선도를 체크리스트 중심으로 익힙니다. 분전반 구성, 기호, 색상 규칙, 전용 회로와 접지 확인법까지 실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.
목차
같이보면 좋은 글
바로 점검 체크리스트(8개)
- 분전반 라벨 최신화(방·부하 단위)
- 메인/ELB/MCB 동작 순서 파악
- 콘센트·조명·스위치 기호(⌺/●/S) 확인
- L/N/E 선과 색상 구분(라벨·테스트 병행)
- 고출력 가전 전용 회로 여부 확인
- 멀티탭 한 구간 1,500 W 이하 보수 운용
- ELB 월 1회 테스트로 누전 방지
- 욕실·베란다 방수형 콘센트 사용
초보가 헷갈리는 포인트 모음
- 3로 스위치(복도등): 스위치 2개가 공통 1 + 왕복 2 로 연결됩니다. 단자 표기 확인이 핵심.
- 접지 없는 2구 콘센트: 금속 외함 가전에는 접지형(3구) 으로 교체.
- 과부하 판단: W = V × A. 220 V 기준, 10 A 를 넘어가지 않게 사용(멀티탭 구간 1,500 W 이하 권장).
미니 사례(요약)
- 주방 한 회로에 전자레인지·에어프라이어를 묶어 사용 → 트립/발열. 회로 분산이 해법.
- 세탁기 외함 미세 전기 느낌 → 접지 미확보 가능성. 접지형 콘센트 + ELB 점검.
Q&A
- 배선도 없이도 되나요? → 분기 차단기별로 꺼지는 구역을 적어 사실상 배선도 를 만들 수 있습니다.
- 색상 불일치? → 현장 차이 존재. 범례·라벨·테스터 를 함께 보세요.
본 글은 가정용 안전 안내이며, 제품 설명서·관할 규정을 우선하세요. 업데이트: 2025-10-05
자세한 내용은 원문 보기
반응형
'가정내전기안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정내전기안전 가정용 전압과 전류 체크리스트 가이드 (1) | 2025.10.07 |
---|---|
가정내전기안전 전기 감전 사고 체크리스트 가이드 (0) | 2025.10.07 |
가정내전기안전 전기 기초 상식,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기 (1) | 2025.08.31 |
가정내전기안전 우리집 전기 안전을 지키기 위한 첫걸음 (3) | 2025.08.30 |
가정내전기안전 고장 난 누전차단기를 방치했을 때 위험성 (3) | 2025.08.26 |